안녕하세요. 2nan 입니다.
먼저 예제 코드를 메모장으로 작성해서 Program.cs 파일로 저장합니다.
//원하는 폴더에 Program.cs 파일명으로 저장
using System;
namespace ConsoleApp1
{
class Program
{
static void Main(strings[] args)
{
//문자열 출력
Console.WriteLine("Hello World!");
}
}
}
위 코드는 단순하게 "Hello World!"라는 문자열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입니다.
Console.WirteLine <== 이녀석이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것이죠.
위의 소스코드는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형식을 갖추고 있지만
기계 즉, 컴퓨터는 이해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런 문자들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
기계어로 바꾸는 '컴파일'이라는 작업을 해야 합니다.
그렇다면 컴파일을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?
컴파일을 해주는 프로그램을 '컴파일러'라고 합니다.
닷넷 프레임워크나 코어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C# 문법을 따르는 소스코드를
컴파일할 수 있는 C# 컴파일러 프로그램이 함께 설치됩니다.
Visual Studio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해 컴파일을 할 수 있지만,
오늘은 명령 프롬프트(CMD)를 통해서 컴파일을 해보겠습니다.
닷넷 프레임워크나 코어를 설치하면 컴파일러 프로그램이 설치된다고 했었죠??
설치된 컴파일러의 위치는 이렇습니다.
<32비트 운영체제의 csc.exe 위치>
C:\Windows\Microsoft.NET\Framework\v4.0.30319\csc.exe
<64비트 운영체제의 csc.exe 위치>
C:\Windows\Microsoft.NET\Framework\v4.0.30319\csc.exe
C:\Windows\Microsoft.NET\Framework64\v4.0.30319\csc.exe
소스코드도 작성했고, 컴파일러의 위치도 알았으니 컴파일을 해볼 차례입니다.
명령 프롬프트를 실행시키고 CD(Change Directory)명령어를 사용하여
작업 디렉토리를 소스코드를 저장한 경로로 이동합니다.
C드라이브에 temp라는 폴더에 소스코드를 작성했다고 가정하고 설명을 드리겠습니다.
C:\Windows\Microsoft.NET\Framwork64\v4.0.30319\csc.exe Program.cs
이렇게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컴파일이 됩니다.
c:\temp>C:\Windows\Microsoft.NET\Framework64\v4.0.30319\csc.exe Program.cs
Microsoft (R) Visual C# Compiler version 4.8.3752.0
for C# 5
Copyright (C) Microsoft Corporation. All rights reserved.
This compiler is provided as part of the Microsoft (R) .NET Framework, but only supports language
versions up to C# 5, which is no longer the latest version. For compilers that support newer
versions of the C# programming language, see http://go.microsoft.com/fwlink/?LinkID=533240
이상태로 프롬프트창에 dir을 입력하거나, 소스코드가 저장되어있던 폴더로 이동해보면
다음과 같이 Program.exe가 생긴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C:\temp>dir
Volume in drive C has no label.
Volume Serial Number is XXXX-XXXX
Directory of C:\temp
2020-06-14 오전 10:41 <DIR> .
2020-06-14 오전 10:41 <DIR> ..
2020-06-14 오전 10:54 174 Program.cs
2020-06-14 오전 10:55 3,584 Program.exe
이제 컴파일이 되어서 exe 실행파일이 생겼으니, 실행을 해볼까요??
C:\temp>program.exe
Hello World
성공적으로 실행이 되어서 "Hello World!"라고 출력이 되는군요.
만약,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지 않고 오류가 발생한다면
프로그램에 오타가 있거나, C# 컴파일러가 허용하지 않는 문법을 사용했기 때문에
오류가 생긴것이므로 그에 해당하는 오류 메시지를 출력합니다.
컴파일러는 오류 메시지와 함께 소스코드의 어느 부분이 잘못됐는지를
나타내는 행, 열 정보를 출력합니다.
따라서 어느 부분이 잘못되었는지 쉽게 찾아갈 수 있고,
오류 메시지가 영어로 작성되어있지만 크게 어렵지 않은 단어들이므로
왜 오류가 발생했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을겁니다.
다음 포스팅에서는 명령 프롬프트를 이용해 프로젝트 파일을 생성하고,
빌드, 실행을 해보겠습니다.
2020/06/14 - [개발/C#] - C# - 명령 프롬프트(CMD)로 컴파일 해보기(2)
C# - 명령 프롬프트(CMD)로 컴파일 해보기(2)
안녕하세요. 2nan 입니다. 앞의 포스팅에서는 직접 예제코드를 작성해서 컴파일을 해보았습니다. 2020/06/14 - [개발/C#] - C# - 명령 프롬프트(CMD)로 컴파일 해보기(1) C# - 명령 프롬프트(CMD)로 컴파일 ��
2-nan.tistory.com
공감이나 도움이 되셨다면, 공감버튼을 눌러주세요ㅎㅎ
질문이나 오타, 잘못된 내용 등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:)
'개발 > C#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# - 닷넷 프레임워크(.Net FrameWork)와 C# (4) | 2020.06.16 |
---|---|
C# - 명령 프롬프트(CMD)로 컴파일 해보기(2) (1) | 2020.06.14 |
C# - null 병합 연산자에 대해서(?? 연산자) (4) | 2020.05.27 |
C# - 윈도우폼 자식 컨트롤 찾기 (2) | 2020.04.14 |
C# - Nullable 에 대해서(변수타입 뒤에 물음표) (5) | 2020.04.07 |
댓글